노마드 데이비드의 잡학다식 이야기

조선시대 선물 경제에 대해 알아보자 - 각종 논문 정리 본문

상식 정보

조선시대 선물 경제에 대해 알아보자 - 각종 논문 정리

노마드데이비드 2023. 4. 18. 10:54
반응형

세상에는 다양한 경제 시스템이 있습니다.
요즘에는 시장 경제가 글로벌 스탠다드이긴 하지만 여전히 사람들은 시장이 아닌 다른 방식을 통해서 필요한 재화나 서비스를 구하기도 합니다. 여전히 자급자족 방식의 경제 체제도 있으며 공산주의도 있습니다. 또한 선물 경제라고 하는 영역도 꽤나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선물 경제 즉 Gift Economy는 선물 경제란 재화를 선물로 나누어줌으로써 물질적 필요를 충족하는 경제를 뜻합니다. 이는 개인 또는 일정한 집단들이 재화를 물물교환하거나 시장에서 가격이라는 메커니즘에 따라 상품을 거래하는 교환경제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포틀래치 경제라고도 합니다. 

 

 

조선 시대 양반들의 선물 경제에 대한 최근 논문 중 하나는 2021년에 발표된 "Early Modern Korean Gift Economy: Insights from the 18th Century Account Books of a Provincial Governor"입니다.

해당 논문은 18세기 경상도 도원군수 황병춘의 회계기록을 분석하여, 조선 시대 양반들이 어떻게 선물을 주고받았는지를 조명하고 있습니다.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선물은 조선 시대 사회에서 중요한 사회경제적 활동이었습니다. 양반들 사이에서 선물을 주고받는 것은 상호간의 연대나 교제를 유지하거나, 관계를 맺는 수단으로 활용되었습니다.
  2. 선물은 물질적 가치보다는 사회적 의미가 더 중요했습니다. 양반들은 선물의 가치를 측정할 때, 선물의 크기나 가격보다는 선물이 전하는 의미와 상황적 요소를 고려했습니다.
  3. 선물은 양반들의 지위와 권력을 유지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양반들은 상대방에게 적절한 선물을 주어 그들의 입장에서 필요한 것을 요청하는 것이 가능했습니다.
  4. 도원군수 황병춘의 회계기록에서는 상대방에게 선물을 주는 경우, 상대방이 선물을 반드시 회수해야하는 "반송"과 회수 여부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는 "송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선물은 양반들의 권력관계와 상호관계를 유지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조선 시대 양반들의 선물 경제와 그 역할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조선시대 선물 경제가 조선의 시장 경제 발전에 방해물이 되었는지에 대한 최근 사학계 견해는 분분합니다.

일부 연구자들은 선물 경제가 조선의 시장 경제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주장합니다. 이들은 선물이 교류를 주도하면서 상호 교역을 위한 실질적인 가치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시장 경제의 확대와 발전을 방해했다는 견해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다른 연구자들은 선물 경제와 시장 경제가 병행하며 발전해 온 것으로 보는 견해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선물 경제가 조선의 시장 경제 발전에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며, 선물을 통한 교류가 시장을 확대하고 교역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져왔다고 주장합니다. 또한, 선물 경제는 양반 사회에서 발생한 소비와 생산의 활동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어, 시장 경제의 발전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견해가 있습니다.

따라서, 선물 경제가 조선의 시장 경제 발전에 대해 긍정적인 역할을 했는지,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분분하며, 많은 연구와 논의가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조선 후기 시장 경제는 어느 정도로 발전했을까요?

주요 논문 몇가지에서 다루는 논조는 어떤지 알아보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겁니다. 조선 후기 시장 경제 발달에 관한 최근 논문을 선정하기는 어렵습니다만, 최근 몇 년간 발표된 논문들 중 일부를 아래에 소개하고자 합니다.

 

1. "The Development of the Gyeongsangbuk-do Market System and Its Role in the National Econom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2018)

 

이 논문은 조선 후기 경북 지역의 시장 경제 발달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저자는 경북 지역의 시장 경제 발달이 국내의 무역망과 연계되어 있었으며, 전국적인 수요와 공급의 조절 역할을 했다는 것을 밝히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지역적인 시장 경제 발달이 국가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2. "A Study on the Role of Marke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2020)

이 논문은 조선 후기 시장 경제 발달에 대한 연구입니다. 저자는 조선 후기 시장의 특징과 발전 역사, 그리고 시장이 국내 농경산업과 상업산업의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조선 후기 시장 경제 발달의 배경에는 서양의 기술적 발전과 사회적 변화가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3. "The Emergence of the Middle Class in Late Joseon Dynasty Society: Focusing on the Gentry Class in Seoul" (2019)

논문은 조선 후기 서울 지역에서 중산층의 등장과 발전 과정에 대한 연구입니다. 저자는 중산층의 등장과 함께 시장 경제의 발달이 밀접한 관련을 가졌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또한, 조선 후기 중산층의 경제 활동이 전통적인 양반층의 경제적 권력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조선 후기 무역 구조는 어떠했을까요?

대부분 청나라와 일본이 주요 무역 상대국이었을 겁니다.

거기서 조선은 중개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조선 후기 대청, 대일 무역에 관한 주요 논문으로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A Study on the Dynamics of the Late Joseon China-Japan Trade in the late 18th century" (2016)

이 논문은 18세기 후반 조선 후기 대청, 대일 무역에 대한 연구입니다. 저자는 이 시기에 중국과 일본 간의 무역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조선은 이 무역에 중간 역할을 맡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또한, 조선의 대청, 대일 무역이 양국의 정치, 경제적 상황과 밀접한 연관을 가졌다는 점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The Historical Evolution of Korea's External Economic Relations: A Perspective on the Late Joseon Dynasty" (2014)

 

이 논문은 조선 후기 대청, 대일 무역을 비롯한 조선의 외교경제 발전에 대한 연구입니다. 저자는 조선의 대청, 대일 무역이 중국과 일본에 대한 경제적, 정치적 의존도를 줄이는 데 기여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또한, 조선의 외교경제 발전이 중앙집권적 권력 구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는 점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A Study on the Dynamics of the Late Joseon China-Japan Trade in the late 18th century" (2016) 논문에서 다루는 조선의 대청, 대일 무역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조선은 중국에서 일본으로 가는 대청(大清) 무역에서 중간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대청은 조선의 특산물인 쌀, 콩, 팥, 명태 등을 중국으로 수출하고, 중국에서는 조선의 필요물품인 천연 송편, 차, 종이 등을 수입했습니다. 이때 조선의 수출품 중 쌀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이외에도 콩, 팥, 명태 등이 수출되었습니다. 수입품 중 천연 송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이외에도 차, 종이 등이 수입되었습니다.

둘째, 조선은 일본과의 무역에서도 중간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일본과의 무역에서는 조선이 일본으로 쌀, 명태 등을 수출하고, 일본은 조선으로 철, 생선 등을 수입했습니다.

논문은 이러한 조선의 대청, 대일 무역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이는 조선의 경제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고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논문은 조선의 쌀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중국과 일본에 대한 쌀 수출이 늘어난 것을 지적하고, 이러한 무역이 조선의 국가 수입 증가와 경제적 발전을 가져온다고 밝힙니다.

반응형
Comments